반응형

파이썬 23

3. 문자열 자료형 (인덱싱과 슬라이싱)

1. 인덱싱 & 슬라이싱 무엇인가를 가리키는 의미이고 슬라이싱은 무엇인가를 잘라낸다 라는 의미이다 문자열은 각 문자마다 번호가 매겨진다.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0 1 2 3 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문자열에서 L은 첫 번째 자리를 뜻하는 숫자 0, 바로 다음인 i는 1 이런 식으로 계속 번호를 붙인 것이다. 중간에 있는 short의 s는 12가 된다 만약에 인덱싱의 값을 확인하고 싶을때는 string['인덱스 번호'] 인덱스 번호를 적으면 된다 . >>> a =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 a[3] 'e' L이 0부터..

파이썬 2022.07.28

2. 문자열 자료형(이스케이프 코드, 문자열 연산)

1. 문자열 문자,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 문자열은 꼭 (" ")가 있어야한다. "a" "123" 1. 큰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Hello World" 2. 작은따옴표(')로 양쪽 둘러싸기 'Python is fun' 3. 큰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써서 양쪽 둘러싸기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4. 작은따옴표 3개를 연속(''')으로 써서 양쪽 둘러싸기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문자열에서 따옴표를 두개 다 써야하는 경우가 있다 . 예를들면 "Python is very easy." he says. 이 문장을 입력을 해야할때 이미 큰 따옴표가 있을때 >>> say = '"Python i..

파이썬 2022.07.28

1. 숫자형 자료형

1. 숫자형 자료형 숫자 형태로 이루어진 자료형으로 정수, 실수 ,8진수, 16진수 등 이루어져있다. 2. 숫자형 종류 2-1. 정수형 정수를 뜻하는 자료형 >>> a = 123 >>> a = -178 >>> a = 0 2-2. 실수형 파이썬에서 실수형(Floating-point)은 소수점이 포함된 숫자를 말한다. 다음은 실수를 변수 a에 대입하는 예이다. >>> a = 1.2 >>> a = -3.45 위 방식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볼 수 있는 실수형의 소수점 표현 방식이다. >>> a = 4.24E10 >>> a = 4.24e-10 위 방식은 "컴퓨터식 지수 표현 방식"으로 파이썬에서는 4.24e10 또는 4.24E10처럼 표현한다(e와 E 둘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여기서 4.24E10은 ..

파이썬 2022.07.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