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바 12

[java] 다차원배열

1. 다차원배열 전에 배웠던 배열은 1차원배열이다. 이번에 배울 배열은 다차원배열이다. 2차원배열은 수학의 행렬을 떠올리면 쉽다. 자바는 2차원 배열을 중첩 배열 방식으로 구현한다. int [][] scores = new int [2][3] 이런 식으로 대괄호를 2번 넣어주면 2차원 배열을 생성하는 코드가 된다. 위에 코드를 실행시키면 3개의 배열의 객체를 생성된다. 위에 코드를 실행을 해보면 행이 2 ,열이 3인 2차원 배열인지 확인 할수 있다. 배열 한 칸이 비어있는 상황에서는 새롭게 인데스를 수정을 해서 배열을 생성할 수 가 있다. 그러나 이런 형태의 배열은 주의할 점이 있다. 배열의 정확한 길이를 알고 인덱스를 사용해야한다. 안그러면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을 발생시..

자바 2023.04.05

[java] 배열(배열정의, 배열선언, 배열생성,배열길이)

학생이30명의 성적을 저장하고, 평균값을 구한다고 가정을 했을때 먼저 학생 30명의 성적을 저장하기 위해 학생 변수를 30개 선언해야한다. 그러나 많은 학생의 변수를 만들기에는 하나씩 변수를 만드는 것은 비효율적이다. 그래서 배열을 사용해서 간단하게 변수를 만들수 있다. 1.배열 같은 타입의 데이터를 연속되 공간에 나열하고 각 데이터에 인덱스를 부여해놓은 자료구조이다. 더보기 scores[인덱스] 이런식으로 인덱스만 대괄호에 넣으면 지정된 값을 불러 올 수 있다. 1-1.배열의 특징 1. 배열은 같은 타입의 데이터만 저장할 수 있다. int 배열은 int 타입만 str 배열은 str타입만 저장가능하다. 한 번 생성된 배열은 길이를 늘리거나 줄일수 없다. 3개의 값을 저장하는 배열을 생성했다고 가정했을때 ..

자바 2023.04.04

[java] 참조타입과 참조변수

자바타입은 그게 기본타입과 참조타입으로 구분이된다. 기본타입은 정수, 실수, 문자, 논리리터럴을 저장하는 타입을 말한다. 참조타입은 객체의 번지를 참조하는 타입으로 배열, 열거, 클래스, 인테페이스를 말한다. 1. 기본 타입과 참조타입의 차이점 기본타입과 참조타입의 차이점은 저장되는 값에서 차이가 난다. 기본타입은 실제 값을 변수 안에 저장하지만 참조타입은 메모리의 번지를 변수 안에 저장한다. 번지를 통해 객체를 참조한다는 뜻이다. 2. 메모리 사용 영역 JVM은 운영체제에서 할당받은 메모리 영역을 다음과 같이 세부 영역으로 구분 한 것이다. 2-1. 메소드영역 JVM이 시작할때 생성이 되고 모든 스레드가 공유하는 영역. 메소드 영역에는 코드에서 사용되는 클래스들을 클래스 로더로 읽어 클래스별로 정적필드..

자바 2023.04.04

[java] 반복문 - for문, while문, do-while문

반복문은 어떤 작업이 반복적으로 실행되도록 할때 사용한다. 반복문의 종류는 for문, while문 do-while문이 있다. for문과 while문은 서로 변환이 가능하기 때문에 반복문을 작성할 때 어느쪽을 선택을 해도 좋지만 for은 반복 횟수를알고 있을 때 주로 사용하고 while문은 조건에 따라 반복할 때 주로 사용한다. do-while문은 while문과 차이점이 조건을 먼저 검사하느냐 나중에 검사하느냐에 차이가 있고 동작방식은 똑같다 . 1. for문 더보기 for(1.초기화식; 2.조건식; 3.증감식; ){ 조건식이 true일 경우 실행문; } 프로그램을 작성하다 보면 똑같은 실행문을 반복적으로 실행해야 할 경우가 많이 있다. 다음 코드를 보면 더보기 int sum =0; sum = sum+1;..

자바 2023.03.30

[java] 조건문 - if , switch

조건문은 조건식에 따라 다른 실행문을 실행하기 위해 사용이된다. 조건문의 종류는 if문, switch문으로 나뉜다. if문은 조건식의 결과기 true , false이냐에 따라 , switch문은 변수의 값에 따라 실행문이 결정된다. 더보기 if (조건문){ ; ; ... } else { ; ; ... } 더보기 switch(입력변수) { case 입력값1: ... break; case 입력값2: ... break; ... default: ... break; } 1. if문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블록 실행 여부가 결정이 난다. 조건식에는 true and false값을 산출할수 있는 연산식이나 boolean 타입 변수가 올수 있다. 조건식이 true이면 블록을 실행하고 false이면 블록을 실핼하지 않습니다..

자바 2023.03.30

[java] 연산자의 종류

연잔자는 필요로 하는 피연산자의 수에 따라 단항, 이항, 삼항 연산자로 구분된다 . 부호 연산자와 증감 연산자는 피연산자 하나만 요구 하므로 단항 연산자 조건 연산자는 조건식 ,A,B와 같이 3개의 피연산자가 필요하므로 삼항 연산자 그외 연산자는 2개의 피연산자를 요구하므로 모든 이항 연산자이다 더보기 ++x ---> 단항연산자 x+y -----> 이항연산자 (sum>90) ? "A": "B" --->삼항연산자 1. 단항 연산자 단항 연산자는 피연산자가 단 하나뿐은 연산자이고 부호 연산자 ,증감 연산자, 논리 부정 연산자가 있다. 1 - 1. 부호연산자 양수및 음슈룰 표시하는 연산자(+,-) 일반적으로 부호 연산자를 정수 및 실수 리터럴 앞에 붙여 양수 및 음수를 표현한다. 부호 연산자는 오직 정수, 실..

자바 2023.03.30

[java] 연산자와 연산식

연산에 사용되는 표시나 기호를 연산자라 하고 연산자와 함께 연산되는 데이터를 피연산자라 하고 연산자와 피연산자를 이용하여 연산의 과정을 기술한 것은 연산식이라고 부른다. 더보기 x + y 여기서 x,y는 피연산자 +는 연산자 x+y는 연산식 1. 연산자의 종류 자바 언어에서너느 다양한 연산자를 제공하고 있다. 이 연산자들은 피연산자를 연산해서 값을 산출하는데 산출되는 값의 타입은 연산자별로 다르다. 산술 연산자일 경우는 숫자 타임으로 결과가 나오고 비교 연산자 와 논리 연산자는 논리타입으로 결과가 나온다. 2. 연산의 방향과 우선순위 더보기 x>0 && y0 , y

자바 2023.03.30

[java] 변수와 시스템 입출력

System.out.printnl("출력내용"); 모니터에 값을 출력하려면 위에 있는 코드를 사용해서 출력을 해야한다. 여기서 system.out은 시스템의 표준 출력 장치를 말한다. out이 출력 장치면 in은 표준 입력을 말한다 . System.out.read(); *print메소드 - printnl(내용) :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고 행을 바꾸는 메소드 - print(내용):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하는 메소드 - printf("형식문자열,값1, 값2 ") : 괄호 안의 첫 번째 문자열 형식대로 내용을 출력하는 메소드 *printf() 개발자가 원하는 형식화된 문자열을 출력할수가 있다 .예를 들면 System.out.printf("이름: %s","한정훈"); // 이름 :한정훈 System.out...

자바 2023.03.27

[java] 타입 변환

두 변수의 타임이 동일할 경우 , 한쪽 변수값을 다른 쪽 변수에 복사해서 저장할 수 있다. 만약 두 변수의 타입이 다르다면 어떻게 될까??? 값의 저장이 가능할 수도 있고 그렇지 않을 수도 있다. a 변수에 저장된 값을 b 변수에 복사해서 저장하는 코드이다. 더보기 byte a = 10; 바이트 타입 변수 a에 10을 저장 int b = a; 바이트 타입 변수 a에 저장된 10을 int 타입 변수 b에 복사해서 저장 이엏게 하면 10은 바이트 타입의 값이였으나 복사해서 저장할 때 int 타입의 값으로 변환되었다. 이것을 타입 변환이라 부른다. 1. 자동 타입 변환 자동 타입 변환은 말 그대로 자동으로 타입 변환이 일어나는 것을 의미한다. 자동 타입 변환은 값의 허용 범위가 작은 타입이 허용 범위가 큰 타..

자바 2023.03.24

[java] 기본 타입(정수타입, 논리타입, string 타입, 실수 타입)

1. 기본 타입 자바는 정수, 실수 , 논리값을 저장할 수 있는 기본 타입을 제공한다. 자바가 제공하는 기본 타입은 총 8개이다. - 정수를 저장할수 있는 타입 : byte , char , short , int , long - 소수점이 있는 실수를 저장 할 수 있는 타입 : float, double - 논리값을 저장할수 있는 타입 : boolean 2. 정수 타입 자바에서 정수 타립은 총 5개로 , 메모리 사용 크크와 저장되는 값의 범위가 서로 다르다. 타입 메모리 사용크기 byte 1byte 8bit short 2byte 16bit char 3byte 16bit int 4byte 32bit long 8byte 64bit char 타입 하나의 문자를 작은따옴표로 감싼 것을 문자 리터럴이라고 부른다. 문자..

자바 2023.03.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