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3. 문자열 자료형 (인덱싱과 슬라이싱)

미스터 한뺑 2022. 7. 28. 12:28
반응형

1. 인덱싱 & 슬라이싱

무엇인가를 가리키는 의미이고 슬라이싱은 무엇인가를 잘라낸다 라는 의미이다 

문자열은 각 문자마다 번호가 매겨진다.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0         1         2         3 
0123456789012345678901234567890123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문자열에서 L은 첫 번째 자리를 뜻하는 숫자 0, 바로 다음인 i는 1 이런 식으로 계속 번호를 붙인 것이다. 중간에 있는 short의 s는 12가 된다

 

만약에 인덱싱의 값을 확인하고 싶을때는

string['인덱스 번호']

인덱스 번호를 적으면 된다 .

>>> a =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 a[3]
'e'

L이 0부터 시작하니 e가 인덱스 번호는 3이 된다. 파이썬은 0부터 숫자를 샌다. 

 

또한 인덱스에 - (마이너스를) 붙어주는 경우가 있다. 

>>> a =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 a[-1]
'n'

마이너스를 붙이게 된다면 인덱싱을 뒤에서 부터 새게 된다. 뒤에서 부터 샐때는 -0 이 아니라 -1 부터 시작한다 . 

그 이유는 0 과 -0 은 똑같기 때문에 그렇다 . 

 

2. 슬라이싱

예시를 들면

>>> a =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 b = a[0] + a[1] + a[2] + a[3]
>>> b
'Life'

이런식으로 한 글자가 아닌 1글자 이상으로 출력 할 수 있다.

>>> a =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 a[0:4]
'Life'

 a [ 출력하고 싶은 인덱스 : 끝내고 싶은 인덱스   ] 문법으로 출력하면된다. 

 

슬라이싱을 더 다양하게 출력할 수 있다. 

#처음 인데스만 적는 경우
>>> a[19:]
'You need Python'

# 끝 인덱스만 적는 경우
>>> a[:17]
'Life is too short'

# 처음과 끝이 있는 인덱스
>>> a[0:2]
'Li'

>>> a[5:7]
'is'

>>> a[12:17]
'short'


# 처음과 끝이 없는 경우
>>> a[:]
'Life is too short, You need Python'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