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21

rocky9.5 sar 설치 및 사용법

sar(system active reporter)sar은 유닉스 및 리눅스 기반 시스템에서 시스템 성능과 활동 정보를 수집하고 보고하는 명령어 또는 도구이다.실시간 시스템 성능뿐만 아니라 과거의 성능 데이터까지 확인할 수 있어 시스템 모니터링, 성능 분석, 병목 현상 파악, 용량 계획 등에 매우 유용하게 사용이 된다 sar의 주요 기능 및 제공 정보:CPU 사용률: 사용자, 시스템, idle, iowait 등 CPU의 각 상태별 사용률을 보여준다.메모리 사용량: 전체 메모리, 사용 가능한 메모리, 캐시, 버퍼 등의 정보를 제공한다.스왑 공간 사용량: 스왑 공간의 사용량 및 활용률을 확인할 수 있다.디스크 I/O 통계: 디스크 읽기/쓰기 속도, 전송량, 대기 시간 등을 보여준다네트워크 통계: 인터페이스..

카테고리 없음 2025.05.23

[프로그래머스] 괄호 회전하기_Python

문제 설명 다음 규칙을 지키는 문자열을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고 정의합니다. (), [], {} 는 모두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 만약 A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면, (A), [A], {A} 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 예를 들어, [] 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므로, ([]) 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 만약 A, B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면, AB 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 예를 들어, {} 와 ([]) 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므로, {}([]) 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 대괄호, 중괄호, 그리고 소괄호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 s를 왼쪽으로 x (0 ≤ x < (s의 길이)) 칸만큼 회전시켰을 때 s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되게 하는 x의 개수를 return ..

프로그래머스 2023.12.18

[묘공단] 2. 스택

1-1. 스택 - 스택의 어원은 "쌓는다" - 먼저 입력한 데이터를 제일 나중에 꺼낼 수 있는 자료구조 (선입선출) - 스택에 삽입하는 것은 push / 꺼내는 연산은 pop이라한다. - 정해진 방향으로 쌓을 수 있으며 top으로 정한 곳을 통해서만 접근 할수 있다. 자료 삭제도 top을 통해서 삭제가 가능하다. 1-2. 스택의 사용 사례 - 웹 브러우저 방문기록 - 실행 취소 - 역순 문자열 만들기 - 후위 표기법 계산 04-03. 후위 표기법(Postfix notation) #1 - 좌충우돌, 파이썬으로 자료구조 구현하기 (wikidocs.net) 04-03. 후위 표기법(Postfix notation) #1 [[TIP(문제 설명)]] 문자열 수식을 받아서 후위 표기법으로 바꾸는 함수를 작성하라. (..

코딩테스트 2023.12.17

[묘공단] 코딩테스트합격자되기_1.배열

1. 배열 - 인덱스와 값을 일대일 대응해 관라하는 자료구조. -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모든 공간은 인덱스와 일대일 대응하므로 어떤 위치에 있는 데이터든 한 번에 접근이 가능. 1-1. 배열 선언하기 #기본으로 구현하는법 arr= [0,1,2,3,4,5] #리스트 생성자를 사용하는 방법 arr_1= list(range(6)) 1-2. 배열과 차원 - 중첩 리스트 형태로 다차원 배열 표현 가능 #1차원 배열 arr = [1,2,3,4] #2차원 배열 arr_1= [[1,2,3,4],[5,6,7,8],[9,10,11,12]] #3차원 배열 arr_2 =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0, ..

코딩테스트 2023.12.10

[야곰 아카데미] DBMS

1. 학습 목표 1. 개념적 의미의 데이터베이스가 무엇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어떤 역할인지 설명할 수 있다. 2. 데이터 베이스 개론에서 공부할 것들 1. 데이터베이스 기본 개념 2.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3. 관계 데이터 모델돠 모델링 4. 트랜잭션 5.SQL - 실무적의미 1. 데이터 베이스를 관리(데이터 삽입, 수정)하는 프로그램(DBMS)을 의미 3. 요약 - 개념적 의미 데이터베이스는 구조화된 데이터가 한 곳에 차곡차곡 모여 있는 것을 의미 -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의 접근과 데이터 입력, 수정 검색 등의 관리를 담당 - 실무에서의 데이터베이스는 보통 데이터베이스 관리 스시템을 지칭

카테고리 없음 2023.08.22

[야곰 아카데미]데이터베이스를 공부해야 하는 이유

1. 학습 목표 - 데이터 엔지니어가 왜 데이터베이스를 알아야하는지 설명할 수 있다 . 1. 우버의 데이터 파이프라인 역사로 확인해 보는 데이터 엔지니어들의 작업물 데이터 엔지니어링의 출발과 끝은 데이터베이스라는 사실 데이터 엔지니어들이 하는 일은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가져서와서 다시 데이터를 데이터 베이스에 넣는 작업을 한다. 2. 영상 요약 1.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엔지니어가 하는 일의 시작과 끝이다. 2. 그 어떠한 소프트워어 엔지니어링 분야에서도 데이터베이스가 안 중요한 곳은 없다 - 데이터가 없는 시스템은 없다 .

카테고리 없음 2023.08.22

[ K8s ] 쿠버네티스 기본 사용법 - 파드 업데이트 하고 복구하기

파드를 운영하다 보면 컨테이너에 새로운 기능을 추가해야하거나 치명적인 버그가 발생해 버전을 업그레이드 해야할 때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 파드를 업데이트하고 파드에 문제가 생기면 복구를 해야할 것이다. 이번 포스팅은 파드을 업데이트하고 복구하는 방법을 포스팅하겠다. 1. 파드 업데이트 하기 1. 파드를 생성한다. 업데이트를 하기 위해서 앞에서 배운 apply 명령어를 사용해 파드를 생성을 했고 실습파일 야믈파일을 이용해 파드를 작성을 하였다. 2. 파드가 잘 생성이 됬는지 확인한다 . 3. 배포된 파드에 속해 있는 nginx 컨테이너 버전을 확인한다. 4. 여기서 1.15.12버전을 1.16.0버전으로 바꿔보자 kubectl set image deployment rollout-nginx nginx=ngin..

K8s 2023.06.12

[ K8s ] 쿠버네티스 기본 사용법 - 파드의 컨테이너 자동 복구

쿠버네티스는 거의 모든 부분이 자동 복구되도록 설계가 되어있다.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컨테이너를 다시 시작하거나 교체해 파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한다. 1. 파드에 접속하려면 파드의 ip를 알아내야한다. kubectl get pods -o wide 2. kubectl exec 명령을 실행해 파드 컨테이너의 셀에 접속한다. kubectl exec -it nginx-pod -- /bin/bash 3. 배시 셀에 접속하면 컨테이너에서 구동하는 nginx의 PID를 확인한다. nginx의 PID는 언제나 1이다. 4. ls -l 명령으로 프로세스가 생성된 시간을 확인한다 . 5. 슈퍼푸티에서 m-k8s 터미널을 1개 저 띄우고 nginx-pod의ip에서 돌아가는 웹페이지를 1초마다 요청하는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K8s 2023.06.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