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쿠버네티스는 거의 모든 부분이 자동 복구되도록 설계가 되어있다.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컨테이너를 다시 시작하거나 교체해 파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게 한다.
1. 파드에 접속하려면 파드의 ip를 알아내야한다.
kubectl get pods -o wide
2. kubectl exec 명령을 실행해 파드 컨테이너의 셀에 접속한다.
kubectl exec -it nginx-pod -- /bin/bash
3. 배시 셀에 접속하면 컨테이너에서 구동하는 nginx의 PID를 확인한다.
nginx의 PID는 언제나 1이다.
4. ls -l 명령으로 프로세스가 생성된 시간을 확인한다 .
5. 슈퍼푸티에서 m-k8s 터미널을 1개 저 띄우고 nginx-pod의ip에서 돌아가는 웹페이지를 1초마다 요청하는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쳐기에서 요청한 값만 받도록 --silent 옵션을 추가한다.
6. 다시 배시 쉘에 가서 nginx 프로세서인 PID 1번을 kill 명령으로 죽인다.그리고 다시 다른 터미널로 가서 1초마다 웹 페이지를 받아오는 스크립트가 잘작동하는지 확인하고 자동으로 다시 복구되는지 함께 확인한다.
반응형
'K8s' 카테고리의 다른 글
[ K8s ] 쿠버네티스 기본 사용법 - 파드 업데이트 하고 복구하기 (0) | 2023.06.12 |
---|---|
[ K8s ] 쿠버네티스 기본 사용법 - 스펙을 지정해 오브젝트 생성하기 (0) | 2023.06.09 |
[ K8s ] 쿠버네티스 기본 활용법 - 레플리카셋으로 파드 수 관리하기 (0) | 2023.06.08 |
[ K8s ] 쿠버네티스 기본 사용법 - 오브젝트 (0) | 2023.06.08 |
[ K8s ] 쿠버네티스 기본 사용법 - 파드생성 (0) | 2023.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