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pen API 란?
- API(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는 프로그램의 특정한 부분에 요청해서 그 안에 있는 데이터와 서비스(기능)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이다
- 다양한 데이터를 어디서나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개방된 API이다.
* 주요 Open API 제공처 *
- 공공데이터포털 (http://www.data.go.kr/)
- 네이버 Developers 센터 (http://developers.naver.com/)
- 구글 디벨로퍼 (http://developers.google.com/)
- 페이스북 for 디벨로퍼 (http://developers.facebook.com/)
- 카카오톡 디펠로터 ((http://developers.kakao.com/)
HTTP(Hyper Text Transfer Protocol) 란?
- HTML, Plain text, JSON, XML , 이미지 , 동영상 등 다양한 형태의 정보도 전송하는 프로토콜를 말한다.
- HTTP의 동작 방식
HTTP Packet
- HTTP 통신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주고 받는 데이터를 말한다.
- Request Header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할 때 존재하는 헤더로 요청한 URL, Method(통신을 어떻게 하는지 알려주는 역활), 브라우저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 Respone Header
- 서버가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할 때 존재하는 헤더로 콘텐츠에 사용된 인코딩, 응답을 생성하기 위해 서버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서버 소프트웨어 및 기타 정보 등이 포함되어 있다.
- HTTP Body
- 서버에서 응답시 클라이언트가 요청한 실제 데이터가 포함되어 있다.
- HTML , image, css , javascript, text ...
HTTP 메소드 와 상태코드
- HTTP 메소드란?
- 서버에 요청을 보내는 방식
- GET 방식 : URL 에 데이터를 담아 요청
- POST 방식 : GET 방식과는 달리 body영역에 데이터를 담아 요청
- HTTP 상태 코드(응답)
-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요청을 하면, 서버는 요청에 대한 처리 상태를 숫자로 반환하는데 이를 상태 코드라고 한다.
- 2xx: 요청성공(ex. 200)
- 3xx: 요청이 유효하지만 주소가 변경(ex. 301)
- 자동으로 변경된 주소로 이동
- 4xx: 클라이언트 오류(ex. 404) - 없는 페이지
- 5xx: 서버 오류(ex. 500)
http: 프로토콜
host : 우리가 주로 사이트를 치는 도메인 주소,IP 주소가 올 수도 있다. 127.0.0.1은 localhost를 가리킨다.
port : 컴퓨터에서 실행되고 있는 수많은 프로세스들의 주소. 생략이 가능하다 이때 프로토콜이 가지고 있는 포트 번호를쓴다.
path : 웹서버에서 자원에 대한 경로이다.
query : URL에서 추가적인 데이터를 표현할 때 사용한다.query는 Path 뒤에 ? 를 기점으로 해서 key=value 형태로 데이터를 표현하게 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