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썬

16. 실습 예제

미스터 한뺑 2022. 8. 5. 22:25
반응형

지금까지 파이썬을 배웠던 것을 토대로 복습 차원에서 실습을 했다 .

같이 한번 풀어보자 ! 

 

1. 다음의 실행 결과에 대한 출력값을 적으시오.
 
```python
x = 1234
y = 1234
x is y 
 
- 출력값: False

-이유 : 같은 값이지만 is 연산자는 할당된 주소를 비교를 해주는 연산자이기 때문이다.

변수인 x, y는 주소가 달라서 정답은 False

 

2. 다음의 실행 결과에 대한 출력값을 적으시오.
 
```python
x = 1234
y = 1234
x == y
```
- 출력값: Ture
 
- 이유: == 비교연산자이다. 값을 비교해주는 연산자이기 때문에 x,y는 값이 같으므로 "True"
 
 
 
 
3. word 변수의 공백 부분을 - 로 치환해 출력해주세요.
word = 'Happy Christmas!'​
 

- 답 : word.replace(" ","-")

-이유: replace 메소드는 문자열을 바꿔주는 메소드이다 .

문자열인 공백부분을 - 로 바꿔줘야 하기 때문에 replace 왼쪽은 기존있는 문자열 오른쪽은 바꿔줄 문자열로

왼쪽은 " " , 오른쪽은 "-" 로 적는다. 

 

4. numbers 리스트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한 새 리스트를 만들어 num_ascending 라는 변수명으로 저장해주세요.

numbers = [13, 12, 23, 54, 115, 56, 17]
 
-답: num_ascending = sorted(numbers)
-이유: sorted는 기존 리스트 인자를 오른차순으로 정렬한 인자를 새 리스트로  만들어주는 내장함수이다.
           간단하게  리스트를 sorted() 소괄호에 넣고 새로 만들어질 변수명을 지정해놓으면 된다.
 
5. n개이상(0개포함)의 아규먼트를 받는 함수를 정의해서 받은 아규먼트를 리스트로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세요.
 
-답:   def func_1(*args):
  
               return list(args)
 
-이유- *args 파라미터는  가변인자이다. 정해지지 않은 인자를 쓰고 싶을때 쓰는 것!

5.다음의 리스트를 인자로 받아 None 값의 총 개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시오

lst = [
[10,None,20,21,None],
[None,1,20,21,None],
[10,30,20,21,50],
[100,21,91,None]
]

 

-정답: def Count_N(lst):
                cnt = 0
                 for a in lst:
                      for i in a:
                          if i is None:
                            cnt+=1 #cnt = i
                      return cnt
 
-설명: 일단 이 문제를 풀기 전에 생각을 먼저하자
1.일단 none은 갯수로 못셈 (그럼 none을 샐수 있게 만들어줘야함)
그래서 cnt = 0 이라는 변수와 값을 정하고 
 첫번째 for 문을 이용해 리스트를 하나씩 꺼낸다.
 두번째 for문을 이용해 리스트 안에 있는 인자를 하나씩 꺼낸다 .
여기서 if 문을 써서 만약 i에 none이 있다면 cnt 에 +=1을 하라 라는 식을 쓴다 .
 

 

반응형